





프로젝트 명은 T3로, 1997년 3월 28일에 선보였다. 당시 판매되던 포텐샤보다 한 단계 높은 세그먼트에 위치하며, 포텐샤로는 경쟁 차종인 현대 다이너스티와 대우 아카디아, 그리고 당시 메르세데스-벤츠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 중이었던 쌍용 체어맨 등을 상대하기 벅차다고 판단한 기아자동차가 고급차 시장에서 재기를 노리고 개발하였다. 프레임리스 도어가 적용되어 고급스러움을 살렸고, 디자인에는 한국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5개의 격자 무늬 라디에이터 그릴은 대한민국의 전통 창호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며, 크롬 도금 알루미늄 휠 디자인은 모란 당초 무늬를 형상화시켰고, 보닛 위에는 봉황의 날개를 상징하는 엠블럼을 달아 차별화하였다. 5,000mm가 넘는 차체 길이와 최고 출력 220마력 및 최고 속도 230km/h의 성능(V6 3.6ℓ 기준)은 출시 당시 대한민국 최고를 자랑하였다. 2001년 6월 11일에 기아자동차의 K자를 형상화 한 새로운 엠블렘이 적용되고, 내·외장을 개선하여 고군분투하였다. 그러나 현대 에쿠스와 쌍용 체어맨의 벽이 너무 높았고,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한 채 V6 3.6ℓ 엔진이 먼저 단종되었고, 저조한 판매 실적 및 새로운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2002년 10월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당초 엔터프라이즈의 후속 차종(SJ)은 현대자동차의 플랫폼을 활용해 별도로 개발되고 있었으나,[1] 현대 다이너스티의 후속 차종(GH)이 개발 도중 기아자동차로 넘어가게 되었고, 이는 2003년 3월에 출시된 전륜구동의 오피러스에 이르렀다. 한동안 끊겼던 후륜구동 방식의 기함의 계보는 2012년 5월부터 K9이 이어 받아 그 계보를 유지하고 있다.
휠베이스 |
2,850 mm (112 in) |
전 장 |
4,895 mm (193 in) |
전 폭 |
1,795 mm (71 in) |
전 고 |
1,420 mm (56 in) |
총 중 량 |
1,530–1,620 kg (3,373–3,571 lb) |